목록분류 전체보기 (60)
영양학또의 떠먹여주는 식품정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T9RX/btqCKA5nZzh/pmu4hg3dYBAk2IPuhKVwy0/img.png)
식품기사 4교시 식품미생물학은 전공자도 어려운 파트인데요 그래서 이번에 제가 학교에서 미생물시간에 배운 내용과 식품기사 필기 기출에서 공부했던 내용을 정리한 필기 요약본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많은 식품기사 공부하는 학생들이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1.미생물의 정의 미생물이란 인간의 육안으로는 볼 수 없고 현미경을 통해 관찰해서 볼 수 있는 미세한 생물 총칭. Micro(작은) + organism(생명) = Microorganism(미생물) 이라는 뜻으로 레벤후크가 현미경을 발명하면서 미생물의 존재가 알려졌고 이 후 코흐, 파스퇴르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미생물학이 정립하게 되었다. 2.미생물 분류 미생물은 크게 고등 미생물 / 원시핵 세포 / 바이러스 3가지로 나뉜다. 고등 미생물에는 균류가 대표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h9xq/btqCHwO3FFz/F9qhluvVef5EPXJQ8IBYXk/img.jpg)
2018년 저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인 호의 '미식가'라는 주제로 인터뷰를 했었습니다.맛있는 음식을 즐기고 그것이 다른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꾸준하게 운영해온 맛집리뷰 블로그와 인스타그램 덕분에 미식가로 알려져 좋은 기회를 얻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께 음식은 과연 어떤 의미인가요? 누군가에게는 그저 음식이란 배고픈 허기를 달래기만 하면 되는 '생존의 수단', 또 어떤 이들에게는 음식이 하나의 취미로써 소소한 행복을 가져다 주는 '소확행의 실현' 누군가에게는 따뜻함과 배려의 실천으로써 사람과 사람의 마음을 잇는 '마음의 전달체' 일지도 모릅니다.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음식이 저에게는 어떤 의미인지 수 많이 고찰하고 곰곰히 생각해 보았 습니다. 나는무엇 때문에 맛있는 음식을 갈망하고 찾는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WqxR/btqBvuxDnTV/KdaFzhxcUkPkn6IN18jUTK/img.jpg)
안녕하세요 첫 게시글로 무엇을 쓰면 좋을까 고민끝에 '제 2의 인생을 살게 해준 편입 성공 비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과거에는 편입 모집인원도 적고 경쟁률도 치열하고 준비해야 되는 서류와 조건이 까다롭기에 악명이 높고, 응시생 수도 재수생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았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재수시장도 과포화 되고 점점 더 정시비율은 좁아지고 수시 비율 선발이 늘어나면서 처음부터 편입을 생각하고 낮은 대학으로 입학해 추후에 좋은 대학을 가는 젼략을 취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면서 편입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저도 처음 편입을 알아볼 때 메가스터디에서 만든 편입인강인 김영편입 입시설명회도 다니고 편입생 커뮤니도 매일 보면서 여러 정보를 모은다고 고생을 했지만 편입에 관한 정보는 아직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아 힘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LTYv/btqBcM0B6zU/FTHdvUbrkyQlLsfMcoMiY0/img.jpg)
"우리가 아는 지식은 가짜들이 너무 많습니다." 현재 우리가 검색으로 쉽게 접하는 인터넷의 지식들은 검증 되지 않은 '가짜 지식'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단순히 유행하는 키워드로 조회수를 늘리기 위해 자극적인 제목으로 시선을 끌어 클릭하면 복사한듯 천편일률편일적인 글들 사이에서 정말 제대로 된 식품 지식을 찾는 것은 너무나도 힘듭니다. 도서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간헐적 단식, 채식주의, 저탄수화물 저지방식단' 등등 식의 수 많은 자극적인 제목들은 소비자를 유혹하여 마치 이 책을 읽어 따라하기만 하면 건강해질 수 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해 탄수화물과 지방을 무조건 나쁜 악의 대상으로 전락시키는 등 치우친 편견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비전문가들에 의해 잘못된 생겨난 식품정보를 옳바르게 바꿔 더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