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60)
영양학또의 떠먹여주는 식품정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ioPo/btqIGlAwZW8/aastZTVxjKpS29MDh3doIk/img.jpg)
제 1. 총 칙 ▶ 1. 일반원칙 1. 일반원칙 이 고시에서 따로 규정한 것 이외에는 아래의 총칙에 따른다. 1) 이 고시의 수록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가) 식품위생법 제7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식품의 원료에 관한 기준, 식품의 제조․가공․사용․조리 및 보존방법에 관한 기준, 식품의 성분에 관한 규격과 기준·규격에 대한 시험법 나)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식품·식품첨가물 또는 축산물과 기구 또는 용기·포장 및 「식품위생법」 제12조2의 제1항에 따른 유전자변형식품등의 표시기준 다)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4조제2항의 규정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포장․보존 및 유통의 방법에 관한 기준, 축산물의 성분에 관한 규격, 축산물의 위생등급에 관한 기준 2)이 고시에서는 가..
오늘 드디어 #큐넷에 #기사합격발표가 나왔네요 #기사합격률 첨부한 파일로 잘 확인하고 시험 난이도 파악하시면 도움될 것 같습니다. 식품기사 합격률은 아래에 정리해 두었습니다. 2020년 정기 기사 제2회 실기시험 합격자를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 1) 공고번호 : 제2020-134호 2) 공고내용 : 최종합격자 조회(2개월간 조회 가능) 종목별 최종합격 현황(붙임파일 참조) 3) 공고일시 : 2020. 9. 11(금) 09:00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 [ 행정절차법 제26조에 의한 고지 ] 행정심판은 행정청의 위법 또는 부당한 처분 그밖에 공권력의 행사, 불행사 등으로 인한 국민의 권리 또는 이익을 침해받은 국민이 행정기관에 제기할수 있습니다. 정당한 사유가 없는 경우,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4tC0D/btqHP3aIqFn/oVH1qR70NSTiEfkCVHFXIK/img.jpg)
1.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1) 수은, Hg - 중독경로: 콩나물 재배시의 소독제, 수은을 포함한 공장폐수로 인한 어패류의 오염 - 중독증상: 중추신경계 증상, 미나미나타 병->지각이상, 언어장애, 보행곤란 (2) 납, Pb - 중독경로: 통조림의 땜납, 도자기나 법랑 용기의 안료 - 중독증상: 빈혈, 급성마비와 구토, 소화기 장애 (3) 카드뮴, Cd - 중독경로: 법랑 용기나 도자기 안료의 성분의 용출 - 중독증상: 이타이이타이병 -> 신장장애, 폐기종, 골연화증, 단백뇨 (4) 비소 - 중독경로: 도자기, 법랑 용기의 안료로 식품에 오염 - 중독증상: 급성위장장애 (5) 구리 - 중독경로: 채소류 가공품에 엽록소 발색제로 사용하는 황산구리를 남용할 때 (7) 아연 - 중독경로: 통조림으로 산성식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C04l/btqHBSNAYqw/cMzhCJyUsRmNILmHuGCgt0/img.jpg)
#인수공통감염병 1.인수공통감염병 일반 (1) 의의 ㄱ.사람과 동물이 같은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병 또는 감염상태 ㄴ.식용동물에 발병되는 인수공통감염병: 탄저, 브루셀라증, 결핵, 돈단독증, 야토병, 렙토스피라증 등 (2) 예방법 - 병에 걸린 동물의 조기발견과 격리치료 - 병에 걸린 동물의 사체와 배설물 소독 철저 - 탄저병일 경우 고압살균 또는 소각처리 - 우유의 살균처리 (브루셀라증, 결핵, 큐열의 예방상 중요) (3) 인수공통감염병의 분류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 세균에 의한 것: 탄저, 브루셀라증, 결핵, 돈단독증 - 바이러스에 의한 것: 일본뇌염, 광견병, 동물인플루엔자 2.인수공통감염병의 종류 (1) 탄저, Anthrax - 병원체: 탄저균, Bacillus Anthracis, 목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P0UV/btqHA3uSCJZ/SoiNdzlbLlfcQDG91u1PkK/img.jpg)
#경구감염병 1.경구감염병 (1) 경구감염병 일반 - 정의: 감염성 병원미생물이 입,호흡기, 피부 등을 통해 인체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감염병 - 조건: 병원소 (환자,보균자,환자와 접촉한 사람, 매개물, 토양, 상한음식), 전파양식 (거의 모든 식품이 전파제 역할 담당, 음식과 물 등), 숙주의 감수성 (개개인의 면역에 대한 저항력 유무에 따라 발병 여부가 좌우) (2) 경구감염병 분류 (병원체의 종류에 따라) - 세균에 의한 것: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콜레라, 파라디푸스, 성홍열, 디프테리아, 파상열 - 바이러스에 의한 것: 감염성설사증, 유행성간염, 급성회백수염(폴리오) - 원생동물에 의한 것: 아메바성 이질 - 리케치아에 의한 것: Q열 (3) 경구감염병의 예방법 ㄱ.병원체의 제거: 환자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rXxz/btqJn0QG6nh/3gvKPaQ2K93Z7SaQvD4TsK/img.jpg)
식중독 및 감염병 1.식중독이란 (1) 식중독의 의의 미생물, 유독물질, 유해 화학물질 등이 음식물에 첨가되거나 오염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급성위장염 등의 생리적 이상을 초래한다. (2) 발생시기 세균의 발육이 왕성하여 식품이 부패되기 쉬운 6~9월 사이 (3) 원인 비브리오,살모넬라,포도상구균 등의 식중독 세균에 노출된 음식물을 섭취하여 발생 전체 식중독 중 세균성 식중독이 80% 이상 차지 (4) 증상 환자의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설사와 복통, 그 밖에 구토, 발열, 두통 등 2.세균성 식중독 (1) 감염형 식중독 세균이 장관에 감염 및 증식함으로써 발병한다. 살모넬라 [원인균] Salmonella Typh- imurium Sal.Enteritidis, sal.derby Sal.Thomoposon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p5HU/btqHuh6RAsK/HjXX3hnYTFBJvAWmR80bnK/img.jpg)
#식품의변질 1. 식품의 변질 자연 상태의 식품이 미생물, 빛, 산소, 효소, 수분 등의 변화에 의하여 성분이 변화되고 손상이 되는 상태. - 부패: 미생물의 번식으로 단백질이 분해되어 아민,암모니아,악취 등이 발생하는 현상 - 변패: 탄수화물, 지방 등이 미생물에 의해 변질되는 현상 - 산패: 지방의 산화로 알데하이드, 케톤, 알코올 등이 생성되는 현상 (산소,미생물에 의한 변질) - 발효: 탄소화물이 산소가 없는(혐기적 상태)에서 분해 - 유지의 자동산화: 상온에서 산소가 존재하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 2.식품의 부패 판정 (초기부패) - 관능검사: 시각, 촉각, 미각, 후각 등으로 검사하는 방법이다. - 물리적 검사: 식품의 경도, 점성, 탄력성, 전기저항 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짧은 시간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9eux/btqHgqELDxL/K5gTxikyDvUg0YRWY61N5K/img.jpg)
#식품위생개념 1.식품위생 일반 (1) 식품위생의 정의 1)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 식품의 생육, 생산 및 제조로부터 인간이 섭취하는 모든 단계에 있어서의 안전성, 건전성 및 완전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모든 수단. 2) 식품위생법상의 정의: '식품,식품첨가물,기구 또는 용기, 포장'을 대상으로 하는 음식물에 관한 위생. (2) 식품위생의 목적 - 식품으로 인한 위생상의 위해를 방지 - 식품영양의 질적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국민 보건의 향상과 증진에 이바지 (3) 식품위생의 대상 식품,식품첨가물,기구,용기 및 포장 등 음식에 관한 전반적인 것. (4)식품위생 행정 1) 중앙기구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위생 행정업무를 총괄 관장 - 질병관리본부: 식품위생 행정을 보조 및 검사 2. 식품의 위생 (1)..